2025. 2. 5. 10:49ㆍ홈페이지 제작 팁과 정보
아코디언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숨기거나 표시할 수 있는 UI 구성 요소입니다.
아코디언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아코디언은 화면 공간을 절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필수 정보를 한눈에 보기 쉽게 표시하고 필요한 경우 탭하거나 클릭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요한 정보를 먼저 보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보조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아코디언은 일반적으로 FAQ 페이지와 탐색 환경의 일부로 사용됩니다.
아코디언 디자인 팁
1. 명확한 제목 작성
사용자는 각 섹션의 콘텐츠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명확한 제목은 이를 위해 도움이 됩니다.
2. 제목과 본문 텍스트의 시각적 구분
아코디언을 포함하여 UI의 모든 부분에 대해 명확한 시각적 계층 구조가 있어야 합니다. 제목과 본문 텍스트에 서로 다른 글꼴 스타일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개체를 쉽게 구분하고 상위 및 하위 요소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제목은 굵게, 본문 텍스트는 일반 텍스트로 만들 수 있습니다.
3. 적절한 기본 상태 디자인
한 섹션에 가장 중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열어보게 하는 것보다 기본적으로 열어두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4. 확장/축소에 기존 아이콘 사용
일반적으로 화살표 및 갈매기 모양 아이콘은 확장/축소 동작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대부분의 사용자는 화살표와 갈매기 모양을 인식하고 그 의미를 이해합니다.
둘째, 이러한 아이콘은 표시된 방향(아래쪽 화살표 = 닫힌 상태, 위쪽 화살표 = 열린 상태)으로 변경할 수 있는 단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UI의 다른 부분과 충돌하지 않는 한 더하기/빼기 기호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 +를 “추가” 동작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 아코디언에 이 아이콘을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5. 기존 위치에 확장/축소 아이콘 배치하기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는 위치는 제목 앞 또는 뒤에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이전' 배치와 '이후' 배치 간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두 번째 옵션이 UI 디자인에서 더 일반적입니다. 제목 뒤에 아이콘을 배치하면 사용자가 제목을 먼저 읽은 후 아이콘을 클릭하여 세부 정보를 읽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F자형 읽기 패턴에 맞게 디자인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6. 아이콘과 제목을 모두 인터랙티브하게 만들기
일부 사용자는 아이콘과 상호 작용하여 자세한 정보에 액세스하는 반면, 다른 사용자는 제목을 클릭하여 동일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전체 헤더(제목과 아이콘 모두)가 대화형이면 두 사용자 그룹이 더 편안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7. 아이콘을 편안하게 탭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게 만드세요.
아이콘의 크기는 편안한 상호작용을 위해 최소 44×44픽셀(~9×9mm) 이상이어야 합니다.
8. 미묘한 애니메이션 추가
세부 정보를 바로 열지 마세요. 대신 미묘한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여 섹션의 열기와 닫기를 표시하세요. 애니메이션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더욱 편안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9. 아코디언 접근성 확보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하여 아코디언을 탐색할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 이는 접근성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전반적인 사용성을 향상시킵니다.
10. 항목이 많은 아코디언에 '모두 접기'/'모두 펼치기' 버튼 제공
아코디언에 많은 옵션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모든 옵션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컨트롤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자가 모든 옵션을 살펴봐야 하는 경우 이 컨트롤을 사용하면 불필요한 클릭이나 탭을 피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medium.com/ux-planet/designing-perfect-accordion-0a0d1f49c585
'홈페이지 제작 팁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러셀 디자인 살펴보기 (0) | 2025.02.10 |
---|---|
빅 데이터 테이블 디자인 (0) | 2025.02.07 |
보편적인 의미를 가진 25가지 아이콘과 사용팁 (1) | 2025.02.04 |
타이포그래피 필수 요소 (0) | 2025.02.03 |
정보 구조(IA, Information Architecture) 설계 과정 (0) | 2025.01.24 |